2013. 6. 13. 16:12

제목이 좀 거창한데, 제목처럼 사진보정의 종결자라고 해도 틀린말이 아닐 정도로 클릭 한번에 사진 보정을 마칠 수 있다면?...

 

사실 포토샵으로 이와 같은 작업을 하려고 하면, 초보자는 엄두도 못낼테고, 고급 사용자라고 해도 마음에 맞는 결과물을 얻기 힘듭니다.

그 만큼 잘 만들어진 프로그램이 ArcSoft Portrait+ 2.0.0.221입니다.

(얼마 전 업그레이드 되었네요)

 

이전 버전은 결과물이 작업에 따라 여러개로 나오는등 조금 불편했었는데 이번 버전 의 특징은 간결하게 결과물 처리가 이루어져 더욱 깔끔하게 정리되었네요.

오래전 부터 본 프로그램을 소개해 드리려 했는데 차일피일 미루다 보니 오늘에야 글을 쓰게 되는군요.

 

프로그램소개

ArcSoft Portrait+ 2.0.0.221

 

특징

1. 자동으로 얼굴 감지와 손질

2. 자동으로 전신 피부를 자연적으로 부드럽게 감지

3.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진의 배치 프로세스(배치파일) 적용가능

4. 사전 설정 및 사용자 정의 스타일로 사진이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보정

5. 32/64-bit 포토샵 플러그인 및 32/64-bit Windows 버전을 포함

 

홈페이지  및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보시려면 : http://www.arcsoft.com/portraitplus/

 

 

1. 설치

    홈페이지에서 Free버전을 선택하여 설치하면 트라이얼 버전이라는 문구가 나타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첫 실행 화면입니다.

여기서 보정하려는 사진을 선택하여 불러오기를 하면 됩니다.

보정하려는 사진이 여러장 일 경우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테스트 용으로 두번째 여성 사진을 불러오겠습니다.

  

 

3. 사진을 불러오기 하면 아래처럼 풍선 도움말이 나타나, 처음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4. 붉은 점이 많은 아가씨네요. ㅠ

 

 

5. 아래 가운데 BIA를 클릭하면 아래 사진처럼 보정전, 후 사진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그림에서 클렌징2 및 미화를 선택하면 우측 그림처럼 붉은 반점이 싹 사라져 버린 뽀샤시한 얼굴로 한 번에 보정이 되버립니다.(?)

   다른 효과를 선택하면 바로 보정 결과를 보실 수 있어 확인이 가능합니다.

  

 

 

6.  우측아래 스마일 단추는 보정할 사진의 얼굴 범위를 설정해 주는 부분입니다.

      이 기능을 잘 활용하면 얼굴을 좀 더 갸름하게 또는 반대로 조정이 가능합니다.

  

 

7. 필요하다면 지우개 모양(반점제거)과 붓 모양(피부영역조정)으로 더욱 정밀하고 우수한 품질의 사진을 만들 수 있습니다.

 

 

8. 최종 결과물을 저장합니다.

 

 

9. 저장할 폴더와 이름을 선택합니다.

  

 

 

 

  

 

어떻습니까?   보정 전, 후 확연히 표나죠?

 

좌측 보정전 사진은 이도 누렇고(?) 붉은 반점이 많은 아가씨가 보정 후 이도 하얗고, 얼굴에 붉은 반점도 없는 깨끗한 이미지의 아가씨로 변했습니다.

 

혹시 선 볼 때가 된 분이 계시다면 보정된 사진에 혹 하는 일이 없길바랍니다.

초보자도 포토샵 전문가나 할 수 있는 일을 단 몇 초만에 뚝딱 해치울 수 있는 세상에 살고 있으니 말입니다. ㅋ~~

 

Posted by 설중매
2013. 6. 13. 16:02

내일이 입동이라 밤이 되니 무척 춥게만 느껴지는군요.

온도 차이가 많이 나는 계절이기 때문에 감기 걸리지 않도록 건강에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요즘 윈도우 8과 오피스 2013 출시와 더불어 설치후 이것 저것 공부하는데 재미가  쏠쏠하네요.

아무래도 윈도우 8의 I.E10 호환성이 떨어져 윈도우7과 윈도우8을 멀티 부팅으로 사용하다 보니 자연, VHD를 가까이 하게되는군요.

 

 

 

VHD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Acronis TrueImage 를 이용한 vhd 만들고 반대로 VHD를 Acronis TrueImage 로 상호 변환하는 방법을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사전 준비 :

                        1. 윈도우 7 또는 윈도우 8

                        2. Acronis True Image Home 2013 5551  (하위버전도 가능)

 

먼저 Acronis TrueImage를 VHD로 만드는 방법입니다.

 

1.  도구및 유틸리티 선택

 

 

2.  백업 변환 선택

     Acronis 백업변환은 Acronis True Image 를 VHD로 변환할 때...

     Windows 백업변환은 VHD를 Acronis True Image 로 변환할 때 사용합니다.

  

 

3.  VHD로 변환할 Acronis True Image 를 선택합니다.

  

 

 

 

  

4. 이제 VHD로 변환할 준비가 완료 되었습니다.

  

 

5.  변환 중......................

  

 

 

6. 변환 완료

  

 

 

 반대로 VHD를  Acronis TrueImage 로 만드는 방법도 위와 절차는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합니다.

 

Posted by 설중매
2013. 6. 13. 10:41

3. 외부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하기 

 

1. 이제. 데스크톱을 원격지에서 연결하기 위해 인터넷 주소창에 http://oooo.iptime.org:1234 로 접속하면 아래 그림처럼 IP TIME 설정창이 나옵니다.

참고 : http://oooo.iptime.org:1234  는 앞서 설정했던 DDNS 서비스 주소와 1234는 포트번호입니다.

여기서 관리도구를 선택합니다.

 

 

2.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WOL 기능으로 들어갑니다.

원격으로 제어하려는 PC를 선택하고 PC켜기 단추를 누릅니다.

 

 

3. PC를 켜시겠습니까? - 확인을 누르면 원격지에 있는 PC가 켜지게 됩니다.

 

 

4. 위 과정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셔도 동일한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제 원격지에 PC에 전원이 인가되어 켜지게 됩니다.

 

 

부팅과정을 거쳐 완전하게 PC가 작동되면(대략 1~2분 후) 원격데스크톱프로그램을 이용 원격 데스크톱을 연결합니다.

 

5. 시작 - 보조프로그램 - 원격데스크톱 연결 선택

 

 

참고사항 : 아래 그림에서 시스템 요약 정보 중 외부에서 연결할 IP 주소 외부에서 원격데스크톱에 연결 할 주소입니다.

 

   아래그림은 외부에서 접속할 때 사용 될 포트번호이며, 기본값은 3389입니다.

 

IPTIME 에서 포트포워드 설정시 내부 3389, 외부 3389 설정시 잘 연결되다가, 포트번호를 바꾸면 안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 부분에 대해 IPTIME 제조사 기술담당자는 3389포트를 바꾸려면 윈도우 레지스트리를 변경하던가, 아니면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기술 지원을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다만, 외부포트는 자유로운 숫자를 사용할 수 있지만, 내부 포트는 바꾸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예를들면,   외부포트  /   내부포트

                      2345       /      3389 

                      3456       /      3389 

                      4000       /      3389    이와 같이 외부포트 숫자는 아무거나 사용해도 내부포트는 기본값을 사용해야  합니다.

 

 

6.  컴퓨터에는 연결 할 PC  IP와 포트번호를 기입합니다.

     그리고 연결...

7. 연결 중입니다.

이 그림에서 하나가 생략 되었는데, 그것은 연결할 PC 이름과 패스워드입니다.

 8. 연결할 원격 데스크톱 PC 사용자 이름과 PASSWORD를 정화하게 입력했다면 원격지 PC 가 아래 그림처럼 나타나게 됩니다.

저의 원격지 PC는 달랑 PC 본체와 전원선, 그리고 랜선으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우스라든가, 키보드가 필요 없거든요.

 

처음 PC를 셋팅할 때 외에는....

 

=======================================================================================================================

2013년 8월7일 수정 보완

1. 윈도우8을 윈도우7 또는 XP에서 원격 조정할 때 사용자 계정이 아닌 등록된 전자우편 주소가 사용자 이름이됩니다.

다시말하면, 이는 윈도우 설치할 때 등록된 계정 주소가 사용자 이름이 됩니다. 

 

 

2. 아래 그림은 윈도우 7에서 원격데스크톱 연결을 위한 그림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등록된 DDNS 호스트이름 그리고 외부포트 번호 사용자 이름등을 기입하고 연결하여야합니다.

 

=======================================================================================================================

 

저는 처음, 원격 데스크톱 PC와 NAS사이에서 무척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NAS도 쓸만 한 것 하나 구입하려면, 왠만한 고급 사양 PC보다 더 비싸 감히 엄두를 내지 못했습니다.

그러다가 놀고 있는 PC를 NAS 대용으로 사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번뜩 나더군요.

500G, 250G 하드로 구성된 PC를 원격으로 이용하니, 오히려 NAS보다 더 좋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이것으로  부족하지만, 원격 데스크탑 강좌를 마치려합니다.

 

 그동안 여러 날 삽질을 반복한 끝에 이제는 인터넷이 연결 되는 곳이라면 어느 곳에서든 사무실 PC, 가정에 있는 데스크톱 PC를 원

하는곳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인터넷을 검색해보면 데스크톱에 대한 많은 내용과 자료들이 있습니다만,  A ~ Z까지 저에게 꼭 맞는 자료가 없어, 내용을 정리하여

기억할 겸 글을 쓰게되었습니다.

 

저 처럼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힘 들게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하려는 회원님들에게, 조그마한 힘이라도 되어 드릴 겸 장편의 글을

올리니 꼭 필요하신 분들께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Windows > Windows 7'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 데스크톱(RDP) 사용하기- 2부  (0) 2013.06.13
원격 데스크톱(RDP) 사용하기- 1부  (0) 2013.06.13
Posted by 설중매
2013. 6. 13. 10:33

2. 무선 공유기 (IP TIME) 설정하기

이번엔 공유기 포트를 성정해 줘야 합니다.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고 다이렉트로 인터넷 회선이 PC에 연결 된다면 상관이 없지만,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DMZ, 트윈IP, 포트포워딩 중 한가지를 반드시 선택해야 합니다.

저는 보안상 포트포워딩으로 선택하겠습니다.

원격 데스크톱은 기본 3389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이 포트를 열어줘야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 집에서 홈 네트워크끼리 접속하는 것은 문제가 없는데, 집 밖에서 공유기를  경유하여 내 PC에 접속하려면 포트 개방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공유기는 IP TIME 604R 을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공유기의 전체적인 모습입니다. WAN 포트1개, LAN포트 4개로 구성된 장비입니다.


 

약간 후면 사진입니다.

제일 좌측이 WAN 포트 우측 검은선 두개는 LAN 포트 가장 오른쪽은 전원선입니다.


 

 

 

먼저. IP TIME 설정창을 불러오기 위해 인터넷 주소창에 http://192.168.0.1을 기입하고 엔터하면 아래 그림처럼 IP TIME 설정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관리도구 창을 선택합니다.

 

 


2. 고급 설정 - 특수기능 - WOL(Wake On Lan)기능 으로 들어갑니다.

    MAC 주소찿기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었거나, IP TIME에 함께 연결된 PC의  MAC 어드레스가 자동으로

탐색되어 나타나게됩니다. 아래 그림 순서대로 하나하나 설정합니다.

 

3. NAT/라우터 관리 - 포트 포워드 설정 창으로 갑니다.

여기서 아래와 같이 자신의 메인PC 또는 원격 데스크톱 PC 를 설정합니다.

원격 데스크톱은 기본 3389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이 포트 번호를 그냥 사용해도 됩니다만, 저는 다른 번호로 만들어 넣어 주었습니다. (내부, 외부 포트 동일 하게)


 

 

 

4. 다음은 DDNS(Dynamic Domain Name System) 설정창을 엽니다.


여기서 한 가지 참고 사항은 고정 아이피를 사용하는 학교나, 기업체, 관공서등에서는 이 단계를 거치지 않아도 됩니다만,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아이피는 거의 대부분 유동 아이피이기 때문에, PC를 크고 다시켜거나, 시간이 지나면 다시 아이피가 변경되 버립니다. 이렇게 되면 원격으로 PC를 켤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DDNS서비스를 이용하여 아이피가 수시로 변경 되더라도 DDNS서비스를 이용하면 아이피 변경과 무관하게 PC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있게됩니다.

DDNS서비스는 예전에는 3~6개월 정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지만, 요즘은 대부분 몇 일만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려면 돈께나 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IP TIME에 등록하면 1개의 호스트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설 DDNS 서비스 업체를 이용하려면 1년에 10여만원을 지급해야 됩니다만, IP TIME를 이용하면, 그 돈을 절약할 수 있어 일석이조입니다.(IP TIME N604R 가격은 3만원 정도...)

 

2011년4월17일 추가 :

우리나라 DDNS 서비스를 왭기반으로 무료로 지원해 주는 곳이 있군요.

 http://kr.dnsever.com/ 도메인은 5개 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공급자는 IP TIME DDNS를 선택하고, 호스트 이름은 자신의 아이디나 적당한 이름으로 기입합니다.

사용자 계정은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기입하고, 사용자 암호 역시 자신의 이메일에 사용되는 암호를 기입하고, 추가 버튼을 누르면

잠시 후 접속상태에 정상등록 이라고 뜨게 됩니다.

 

호스트 이름 xxxx.iptime.org를 잘 기억해 두셔야 합니다.

 아이피 대신 xxxx.iptime.org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5. 설정창에 들어 왔으니 무선 설정/보안 도 함께 설정하겠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옵션과 인증방법, 네트워크 키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적용.....

 

 


 
자 이렇게 하면 외부에서 스마트 폰이나 PC로 인터넷 주소창에  xxxx.iptime.org 기입 후 엔터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 화면에서 PC를 켜거나 끄면 됩니다. 이 과정은 뒤에서 다시한번 설명 드리겠습니다.

마지막으로 PC가 IP TIME을 거쳐 켜 질수 있도록 설정해 주어야합니다.

PC를 켜면 CMOS SETUP 화면에서 WOL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 합니다.

 

CMOS 부분은 컴퓨터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PC에 맞는 WOL기능을 이용 설정해야합니다.

일단 Power 설정 화면으로 들어간 다음 - Wake on Lan 이라는 단어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또는 PME 라는 단어를 찾아보세요.

WOL을 DISABLED에서  ENABLED로 고치고 CMOS 를 저장하고 나와 재 부팅하면 모든 설정은 끝입니다.


 

2012년 2월 9일 추가

마더보드에 랜카드가  붙어있는 경우 간혹 WOL기능이 안 될 때는 장치관리자를 열어 네트워크 어댑터 속성 -  전원관리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Wake on Lan 박스를 모두 체크합니다.

 

 

 


마지막으로 확인을 누릅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대부분 WOL 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게 됩니다.

 


 

 

다음편에서는 외부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Windows > Windows 7'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 데스크톱(RDP) 사용하기- 3부  (0) 2013.06.13
원격 데스크톱(RDP) 사용하기- 1부  (0) 2013.06.13
Posted by 설중매
2013. 6. 13. 10:05

1: 원격 데스크톱 준비 하기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RDP : Remote Desktop Protocol 줄여서 RDP)은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사유 프로토콜로, 다른 컴퓨터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며. 대부분의 윈도우 버전에 RDP가 포함되어 있으며, TCP 포트 3389을 기본으로사용합니다.

직장이나 멀리 출장 중일 때, 집에 있는 PC를 켜고, 그 안에 있는 자료를 가져오려할 때, 또는 반대로 직장에서 퇴근했는데, 갑자기 직장 PC에 있는 자료가 필요할 때, 직장까지 달려가지 않고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이럴 때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하여, 직장이나 가정에 있는 PC를 켜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은 스마트 폰 보급대수가 이미 1,000만대가 넘어 섰다지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 폰을 이용해서 원격지의 PC를 켜고, 끌 수 있으니 참 편리한 세상입니다.

  

 

그렇지 않은 가정도 있겠지만, 요즘은 한 집에 두세대의 PC가 있고, 아마 그 중에 놀고 있는 컴퓨터가 있다면 서버로 이용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집에 원격으로 사용할 PC를 24시간 계속 켜 둔다면 전기세도 무시 못하기 때문에 밖에서 PC를 끄고 켤 수 있다면 좋겠지요.

바로 이 기능이 WOL 기능입니다. WOL기능은 뒤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원격 데스크톱 사용 시 제약이 있습니다.

윈도우 홈 에디션 이하는 서버가 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는 상관이 없습니다. 만약, 윈도우 7 홈 프리미엄 에디션 사용 중 일 경우, 외부에서 내 컴퓨터에 원격 데스크톱으로의 접속은 불가합니다. 외부에서 원격으로 접속하려면 프로페셔널 이상 버전이어야 합니다. XP도 마찬가지로 홈 에디션은 안 되고 프로페셔널 버전만 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설정 방법

단축키 Win + Pause 또는 실행 창에서 sysdm.cpl 입력하면 시스템 속청창이 나옵니다.

아래 그림대로 설정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2. 사용자 계정 변경창에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암호를 만듭니다.

3. 매번 pc를 켤 때 마다 암호를 물어 보면 입력하기 귀찮고, 특히 원격 데스크톱 연결시 일일히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행창에서 netplwiz  입력 후 엔터하면 아래그림처럼 사용자 계정창이 나오게 됩니다. 

아래 창에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에 체크해제 후  확인.

4. 그러면 아래와 같이 암호 입력창이 다시 나오게 됩니다.

암호 입력후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이 과정을 마치게 되면 앞으로 PC를 켤 때 마다 비밀번호를 물어 오는 일이 없을겁니다.

이렇게 하면 원격 데스크탑 사용 준비는 완료 되었습니다.

'Windows > Windows 7'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 데스크톱(RDP) 사용하기- 3부  (0) 2013.06.13
원격 데스크톱(RDP) 사용하기- 2부  (0) 2013.06.13
Posted by 설중매
2013. 6. 13. 10:00

CyberArticle5.3 버전이 나온지 2년여가 다 되가는 늦은 시점에 CyberArticle5.5 버전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갈수록 이 프로그램에 의존하는 빈도가 커지는군요.

CyberArticle5.5에서 크게 달라진 곳은 없고 안정성에 주안점을 둔 것 같습니다.

 

 

2013.6 13 

CyberArticle 6.0 테스트 버전입니다. CyberArticle 6.0역시 CyberArticle 5.5 버전과 크게 달라진 부분은 없습니다.

아래파일은 구하기 힘들것 같아 올려둡니다.

 

cyberarticle-6.0-2012-01-04-setup.part1.rar

cyberarticle-6.0-2012-01-04-setup.part2.rar

cyberarticle-6.0-2012-01-04-setup.part3.rar

Posted by 설중매
2013. 6. 13. 09:58

요즘 개인 정보다 뭐다 해서 대부분의 모든 블로그나 카페, 홈페이지등은 복사 방지를 위해 마우스 오른 쪽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막아 두었습니다.

특히 네이버는 지금까지 해 왔던 방식보다 더 발전한 복사 방지 기능을 사용하다 보니, 참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카피 하려해도 할 수 없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

인터넷에 떠도는 여러가지 툴이 있지만, 완벽한 복사가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그러나 e-book을 만드는 툴인 CyberArticle을 사용하면 대부분 막아놓은 방지 장치를 뚫고 100% 완벽한 복사가 순식간에 이루어 집니다.

 I.E 8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1. CyberArticle을 설치하면 I.E 도구모음에 CyberArticle 관련 아이콘 3개가 생성됩니다.

3개의 아이콘 중 Save selection to CyberArticle을 선택합니다.

2. 저장: 전체 페이지 (모두저장) -> 제목은 그대로 두시고 -> 저장 할 위치를 선정 후 SAVE를 선택합니다.

 

 3. CyberArticle로 돌아와 확인해 봅니다.

아래 그림처럼 복사 방지된 블로그 내용이 통째로 들어와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CyberArticle내에서는 문서 편집이 자유롭습니다. 원하는 부분을 드래그하여 문자열을 복사하여 편집할 수 있게됩니다.

  

 몇몇 블로그와 홈페이지를 테스트 결과 거의 모든 방지 장치를 무용지물로 만들어 버리는 강력한 툴입니다.

 저작권 보호를 위해 악용하는 일은 없어야 겠지요. ^^

 

CyberArticle 홈페이지 : http://wizbrother.com/

Posted by 설중매
2013. 6. 13. 09:50

주 : 

 CyberArticle_5.3 사용설명서를 가지고 가셔도 됩니다만, 반드시 설중매의 집 출처를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강좌/팁에 1~5부 CyberArticle 5.3 사용설명서 강좌를 하나로 묶은 사용 설명서 입니다.

일일히 찿아보기 힘든 분들을 위한 전 내용이 포함된 사용설명서 입니다.

설명서 : 

CyberArticle_5.3.exe

 

 

 

 

Posted by 설중매
2013. 6. 13. 09:46

5부. CyberArticle 5.3 최종편

이번 편은 CyberArticle 5.3로 만든 EXE 실행파일을 불러 오는 요령과 CyberArticle 5.3 사용 중 일어 날 수 있는 문제 해결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1.  EXE 실행파일 불러오기

아래 붉은 박스 처리된 실행 파일을 불러 옵니다.

 

파일 -> 가져오기 -> CyberArticle 5.0 EXE e-book

 

import EXE e-book 이 불러오기가 실행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응답없음으로 나오는 것은 불러오기 시간 지체가 생겨서 그렇습니다. 이 부분은 명백한 오류로 보여집니다.)

 

잠시 기다리면 불러오기가 종료됩니다. 여기서 확인 버튼을 누르고 나갑니다.

 CyberArticle 5.3 기본 페이지 좌측을 보시면 A.I_091214 실행 파일이 CyberArticle 5.3에 불러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부터 편집 요령은 전과 동일 하므로 설명을 생략합니다.

2 . 셧다운 현상(프리징) 대처 방법

제1편 설치에서 언급 했습니다만, 인터넷에 돌아 다니는 크랙 이용 등록하여 사용하실 수 있겠지만 이렇게 사용하다 보면 뜻하지 않은, 원인불명의 프로그램 셧 다운 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주 : 삼성 노트북(WIN 7 32비트) / LG 데스크탑(XP) / 조립 PC(WIN 7 64비트 얼티밋) 등 여러대의 PC에서 확인한 사항입니다.

기본적으로 CyberArticle 5.3 을 설치하게 되면 아래 그림처럼 비등록판 이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그리고 프로그램 설치 디렉토리에 다음과 가튼 파일들이 존재 하게 됩니다.

아래 그림처럼 3개가 CyberArticle 5.3 이 설치되면서 셋팅, 시리얼과 관련이 있는부분입니다.

요점

가. 등록번호 또는 크랙 이용 CyberArticle 5.3 등록판으로 만듭니다.

나. CyberArticle 5.3를 처음 으로 실행하고 프로그램을 닫습니다.

다. CyberArticle 5.3  셋팅 폴더를 찿아갑니다.

    본인의 경우 :  D:\My Books\Settings

D:\My Books\Settings 폴더내 아래 세개의 파일 모두를 선택한 다음 속성-> 파일 읽기 전용으로 만들어 줍니다.

라. WINRAR등 압축 프로그램이용, 세개의 파일 전부 선택 압축해둡니다.

마. 사용 중 등록번호 관련 문제가 생기면 압축만 풀면 됩니다.

 

참고로 등록번호를 이용하면 프로그램 셧다운(프리징) 현상은 없습니다.

지금까지 CyberArticle 5.3 설치~셧다운 현상 대처 방법 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세부적인 메뉴 내용도 방대하며, 본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도 많이 있습니다만, 여기까지라도 잘 응용하고 사용 한다면, 본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기능의 80~90%는 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전체적인 내용을 검토해 보니, 역시 생각처럼 좋은 강좌 보다는 졸작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CyberArticle 5.3은 지금까지 보아 온 어떠한 프로그램보다도 우수한 기능으로 무장되어 있어 잘만 사용한다면 여러 가지 응용분야가 많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모쪼록 본 강좌가 여러분에게 조금이라도 유익하게 사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설중매
2013. 6. 13. 09:40

4부. CyberArticle 5.3 e-book 만들기

4부에서는 e-book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EXE e-book 만들기(실행 파일형)

이미 만들어진 서적 A.I_7FINAL을 이용하겠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파일->내보내기->EXE e-book으로 내보내기...를 선택합니다.

 

주의 할 사항은 아래 그림처럼 반드시  A.I_7FINAL에서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들어  A.I_7 GIFT에서 만들게 되면, A.I_7 GIFT 단독으로 만들어 지며, 전체적인 내용을 만들 수 없게됩니다.

 

참고사항 : CHM e-book 일반 도움말 형식으로 만들 때

               EXE e-book  실행파일 형식으로 만들 때 사용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속성을 선택합니다.

 속성 관련 탭입니다.

저자 정보란 입니다. 필요하면 내용을 삽입합니다.

고급 탭 내용입니다.

 

e-book 보호 탭 입니다.

만들기를 클릭하면 우측 처럼 부 메뉴가 나옵니다. e-book을 실행할 때 비밀번호 또는 시리얼 번호를 요구할 것인가, 아니면 자동으로 e-book 내용을 보게 할 것인지를 선택합니다.

속성창에서 모든 설정이 끝나면 e-book 컴파일을 시작합니다.

내용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략 5~15초 정도면 컴파일이 완료됩니다.

완성된 e-book 입니다.

2. CHM e-book 만들기

절차는 1번과 동일합니다. 그림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다음편에 계속...

'Edi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yberArticle 5.3 사용설명서(합본)  (0) 2013.06.13
CyberArticle 5.3 최종편_5부  (0) 2013.06.13
CyberArticle 5.3 편집_3부  (0) 2013.06.13
CyberArticle 5.3 Web Page 갈무리_2부  (0) 2013.06.13
CyberArticle 5.3 설치_1부  (0) 2013.06.12
Posted by 설중매